크론병 증가율 5년새 급증합니다
서구병일 수도 있는 크론병 증가율이 심상치 않은데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희귀 난치 질환인 크론병 증가율로 인해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진료 인원이 큰폭으로 많아졌으며 환자 2명 중 1명은 20~30대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크론병은 염증성 장 질환의 하나로 복통이나 설사 식욕부진 및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합병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완치가 어렵고 이환 및 합병증으로 고통스러움이 함께 한다고 합니다.
이런 크론병이 증가 추세라고 하는데요. 크론병 증가율은 얼마나 급증 했을까요? 크론병에 대해 최근 5년간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크론병 진료 인원은 약 1만8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여성보다 남성 진료 인원이 2배나 많았다고 합니다.
또한 진료인원 절반이 20대에서 30대가 29.3%를 차지했으며 20대로 가장 많았다고 해요.
그렇다면 2011년에서 2015년까지 최근 5년간 크론병 증가율 추이는 어떤 모습이였을까요?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에서 나타난 크론병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2011년 약 1만4000명에서 2015년 약 1만8000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4000명이 증가해 연평균 7.1%의 증가율을 보였다고 합니다.
또한 총 진료비는 2011년 약 233억원에서 2015년 약 474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240억원이 증가해 연평균 19.4%의 증가율을 보였다고 합니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2015년 기준 크론병 진료인원 절반이 20~30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치로는 50.7%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연령별 점유율로 한 번 살펴보니 전체 진료인원 중 20대가 29.3%였으며 30대 21.4%, 10대가 14.5% 순으로 나타나 젊은층의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특히 여성보다 남성 진료인원의 비율이 높았으며 남성의 20대는 21.5%, 30대는 15.4%로, 진료인원 3명 중 1명 이상은 젊은 20~30대 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 같은 결과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크론병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병할 수 있으나 주로 15~35세에 진단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해요.
이렇듯 크론병은 많은 질병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복통과 설사를 동반하고 있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여겨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크론병은 희귀난치 질환 중 많이 알려진 질병이지만 증상은 일반적인 장 질환과 유사하기 때문에 관심을 덜 두는 경우가 많은데요.
하지만 복통이나 설사 등의 증상이 장기간 이어지거나 관절이나 피부 눈 등에 이상이 동반된다면 혹 크론병 일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고 해요.
또한 크론병은 자가면역질환이기 때문에 면역력을 길러주는 규칙적인 생활습관과 함께 건강한 식습관 그리고 꾸준한 운동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