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비율 


가계부채 비율

0 9,797 2016.01.21 18:30

 

가계부채 비율 얼마나 될까요?

 

작년 가처분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44%였다고 합니다.

 

이런 가계부채 비율은 1년새 7.8% 포인트 급등한 것입니다. 작년 가계부채 증가율 또한 가처분소득의 2배였다고 합니다.

 

이는 우리나라 가계 부채가 소득보다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처분가능소득을 모은다해도 가계 부채를 갚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합니다.

 

갈수록 버는 소득으로 부채를 감당하기 힘들어지는 불안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26일 한국은행 통계를 보면 지난해 가계의 순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신용 연말 잔액은 144.2%로 집계됐다고 합니다.

 

 

 

여기서 순처분가능소득은 가계가 임금이나 예금 이자 등으로 마련한 소득 가운데 세금 등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을 말하며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이나 보험, 대부업체 등에서 받은 대출뿐 아니라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합친 대표적인 가계부채를 통틀어서 이야기 하는것입니다.

.

 

즉 이말은 우리나라 가계가 1년 동안 처분가능소득을 모두 모아도 가계부채를 전부 갚기 어렵고 가계 빚의 44%가 남는다는 얘기라고 합니다. 한마디로 가진돈을 탈탈 털어 현재 빚을 갚고도 갚아야 할 빚이 44%가 남아 있다고 하는 이야기죠.

 

 

이 비율은 2004년 100.8%에서 꾸준히 상승해 2011년 131.3%로 130%대에 올라섰고 2012년 133.1%, 2013년 133.9%, 2014년에는 136.4%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2004년도에는 왠만하면 견딜수준이였으나 2011년도 부터는  감당이 안되는 수준이 되었으며 문제는 최근 이런 가계부채 비율 상승곡선이 가파르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합니다.

 

 

이런 가계의 순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신용 연말 잔액의 작년 말 수치를 1년 전과 비교하면 7.8% 포인트나 뛰었다고 하습니다.

 

 

이 비율의 전년 대비 상승폭은 한국은행이 가계부채 통계를 편제한 2002년 이후 최대였던 2006년 7.2% 을 뛰어넘는 역대 최대 수준이였다고 합니다.

 

 

최근 들려 온 청년실업률도 그렇고 국민소득 감소 또한 역대 최대라는 말을 들었었는데 가계부채 비율 또한 역대 최대수준이라고 하니 행복한 최대가 아닌 우울증을 최대로 안겨주는 최대 소식들인 것만 같습니다.

 

 

소득과 대비한 가계 부채 비율이 높아진 것은 지난해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이 2014년보다 5.2%(41조4478억원) 늘어나는 동안 가계부채 잔액은 11.2%(121조7206억원)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가계 부채의 증가 속도가 처분가능 소득의 2배를 넘었던 것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가계부채 비율 급증 원인은 무엇이였을까요?

 

 

가계 부채비율 급증은 지난해 6월 기준금리가 연 1.50%까지 떨어지면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대출이 급증한 영향이 컸습니다.

 

 

이에 따라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지난해 말 77.4%로 1년 전(73.0%)보다 4.4% 포인트 상승했다고 합니다. 이 또한 한은이 관련 통계를 편제한 2002년 이후 최고치라고 하지요

 

 

지난해 부채를 늘린 가구 중에는 주택 등 다른 자산을 늘릴 경우가 많지만, 가계부채 총량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가계가 부채 상환에 허덕이는 현실은 다른 통계에서도 확인되고 있다고 합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의 '2015년 가계금융 복지조사'에 따르면 가계는 가처분소득의 25%를 대출 원리금(원금과 이자)을 갚는 데 쓰는 것으로 파악됐구요. 또 대출을 받은 가구 중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가 70%에 달했다고 합니다.

 

 

또한 한국은행은 난해 1인당 국민소득(GNI) 잠정치가 2만7340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2만8071달러보다 2.6% 줄어들어 1인당 GNI가 전년보다 감소했다고 합니다.

 

 

1인당 GNI는 국민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지표로 국민이 국내와 외국에서 벌어들인 소득 수준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1인당 GNI는 2006년 2만 달러 고지를 넘은 뒤 9년째 3만 달러를 넘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부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보다 높다는 것은 가계의 부채상환 능력이나 재무건전성이 나빠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런 현실이 언젠가 더 큰 사회문제가 되지 않도록 보다 적극적인 대응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Comments

반응형 구글광고 등
  • 글이 없습니다.
최근통계
  • 현재 접속자 32 명
  • 오늘 방문자 999 명
  • 어제 방문자 1,003 명
  • 최대 방문자 6,268 명
  • 전체 방문자 947,385 명
  • 전체 회원수 13,457 명
  • 전체 게시물 20,710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