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평균등록금 


대학 평균등록금

0 6,339 2016.03.22 00:24

 

대학 평균등록금 최고는?

 

4년제 대학 평균등록금을 살펴보니 667만5000원이였습니다.

 

대학 평균등록금 최고는 연세대로 나타났습니다.

 

전국 4년제 대학 대부분이 올해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했지만 대학 평균등록금은 2년 연속 올랐습니다.

 

대학 평균등록금이 이렇게 오른 이유는 등록금이 비싼 공대 정원을 늘린 결과라고 합니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29일 발표한 '2016년 4월 대학정보공시'에 따르면 전국 180개 4년제 일반대학 중 98.9%인 178곳이 올해 등록금을 지난해 수준으로 동결하거나 인하했다. 인상한 곳은 소규모 대학 2곳(1.1%)에 불과합니다.

.

 

전국 4년제 대학 중 98.9%가 올해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한 결과다. 학생 1인당 대학 평균등록금은 소폭이긴 하지만 2년 연속 올랐다. 대학이 상대적으로 등록금이 싼 인문·사회계열 학과 정원을 줄이고 비싼 공학계열 정원을 늘린 탓입니다.

 

 

등록금을 조금이라도 내린 대학은 13.3%(24개교)로 지난해 26.7%보다 줄긴 했지만 동결·인하한 대학 비율은 지난해와 동일합니다. 인하한 대학들은 대부분 1% 미만으로 내렸다. 등록금 인하율이 1%도 안 되는 대학도 5곳입니다.

 

 

인하한 학교는 24곳, 동결은 154개 학교였다. 인상한 학교는 추계예술대와 중앙승가대 등 2곳이었다. 등록금을 인하한 학교들의 인하 폭은 대부분 1% 미만이었고 인상한 학교들은 각각 1%씩 인상했다.

 

 

명목등록금에 학생정원을 가중해 산출한 평균등록금 결과값은 667만5000원으로 지난해보다 1만4000원(0.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도 98.9%의 대학이 등록금을 동결·인하했지만 연평균 등록금은 2014년보다 2700원 올랐었다. 사실상 '동결' 수준으로 봐도 무방합니다.

 

 

정부가 2011년 반값등록금 정책을 시행한 이후 대학 평균등록금은 계속 하락했다. 소폭이긴 하지만 2015년부터는 거꾸로 평균등록금이 오르고 있다. 전체 대학 중 등록금을 인상한 곳이 2개교에 불과한데도 그렇다. 대학 구조조정 영향 때문입니다.

 

 

정부의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앞두고 대학들은 취업이 잘 안 되는 인문사회계열 학과 정원을 줄이고 공학계열 정원을 줄였다. 공학계열은 상대적으로 인문사회계열보다 등록금이 비싸다. 2016년 계열별 평균 등록금은 인문사회계열이 595만8200원인데 비해 공학계열은 782만5400원으로 186만7200원 비싸다.

 

 

대학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등록금이 비싼 공대 정원을 늘리는 게 '일거양득'인 셈입니다. 정부의 반값등록금 정책으로 사실상 등록금을 인상할 수는 없다.

 

 

등록금을 동결해도 공대 정원을 늘리면 등록금 수입 총액은 늘어나 재정적으로 도움이 된다. 공대는 인문사회계열보다 취업률이 높아 각종 대학평가에도 유리합니다.

 

 

게다가 정부 재정지원사업에 선정될 가능성도 높아진다. 사회 수요에 맞춰 학과 정원을 조정하면 1년에 최대 300억원을 지원하는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사업(PRIME)이 대표적입니다. 2014년 선정한 대학 특성화 사업도 마찬가지다.

 

 

교육부 관계자 또한 등록금을 인상한 대학이 2개교에 그쳤는데 평균등록금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 이유에 대해 “대학구조개혁 등으로 대학 정원이 조정되면서 상대적으로 등록금이 낮은 인문사회계열 학생정원의 비중이 줄고 자연과학과 공학계열 학생정원의 비중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대학 평균등록금은 등록금 총액을 학생 수로 나눠 산출하기 때문에 등록금을 동결했는데도 학과 정원 조정의 영향으로 대학 평균등록금은 오른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며 "학생들 입장에서는 등록금이 인상된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실제 등록금 고지서에 기재되는 등록금은 인하되거나 동결됐다”고 말했다.

 

 

대학 평균등록금을 계열별로 살펴보면 의학계열 평균등록금이 938만8400원으로 가장 비쌌고 이어 예체능 782만5400원, 공학 712만7000원, 자연과학 678만8900원, 인문사회 598만2000원 등의 순이었다.

 

 

대학 평균등록금 중 1인당 평균등록금이 가장 많은 학교는 연세대(874만원)였다. 이어 을지대(850만원), 이화여대(847만2천원), 추계예술대·한국항공대(각 847만1000원)의 순이었다. 국공립대 중에는 서울대가 596만3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등록금 분할납부가 가능한 대학은 176개교로 지난해보다 1개 학교가 늘었다. 카드납부가 가능한 대학도 지난해 77개교에서 80개교로 늘어났다.

 

 

올해 1학기 대학들의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은 64.5%로 지난해 62.7%보다 1.8%포인트 증가했다. 시간강사와 같은 비전임교수가 아니라 전임교수에게 강의를 맡기는 비율입니다. 전체 개설 강의는 감소한 반면 전임교수가 담당하는 강의는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교육부는 분석했다.

 

 

'학점 인플레' 현상을 파악할 수 있는 B학점 이상 취득 학생 비율은 69.5%로 나타났다. 전년도 69.7%보다 0.2%포인트 감소했다. B학점은 37.6%로 전년도(37.5%)와 변화가 거의 없지만 A학점 비율이 32.2%에서 31.9%로 약간 줄었다.

 

 

졸업생 중 2015년 8월과 올해 2월 졸업한 학생 중 B학점 이상 비율도 91.0%에서 90.9%로 0.1%포인트 감소했다. 참고로 대학별 세부 공시 내용은 대학알리미 사이트(www.academyinfo.go.kr)에서 29일 오후 1시부터 볼 수 있다.

Comments

반응형 구글광고 등
  • 글이 없습니다.
최근통계
  • 현재 접속자 156 명
  • 오늘 방문자 574 명
  • 어제 방문자 972 명
  • 최대 방문자 6,268 명
  • 전체 방문자 1,000,180 명
  • 전체 회원수 13,550 명
  • 전체 게시물 20,710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