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지진 


대만 지진

0 4,849 2016.03.18 23:45

 

대만 지진 발생

 

지각 불안정이 시작된 것일까요? 불의 고리에서 또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특히 대만 지진은 지난 2월에 규모 6.4의 지진이 발생 한 바 있고 당시 지진으로 인해 100여명이 사망하였으며 더 앞서서 지난 1999년 9월 21일에도 진도 7.6 규모의 지진이 발생해 최소 2297명이 사망하고 9000명 이상이 부상을 당하기도 한 일이 있어 더 공포스럽게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28일 오전 2시경 대만 카오슝에서 북동쪽 131km 지점에서 규모 5.5의 대만 지진이 발생했다.

 

진앙깊이는 18.2km이며, 발생 위치는 북위 23.26도, 동경 121.3도로 알려졌다.

 

 

대만의 화리엔 지역에서는 자정 무렵 규모 4.0 지진이 발생했고, 오전 1시경 규모 4.3지진과 4.2 지진이 연속적으로 발생했다. 또한 오전 5시경에는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하였고 오전 5시 40분경 규모 4.3의 지진이 또 발생하였다.

.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지진대는 4만km의 세계 최대 길이를 자랑하는 지진대를 말한다. 발생하는 지진의 90%는 불의 고리 지역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졌다. 지질학자들은 대륙의 판이 만나는 곳들이 부딪혀 지진·화산 활동이 잦다고 말한다.

 

 

불의 고리 지역으로는 최근 지진이 발생한 일본, 필리핀과 뉴질랜드, 인도네시아, 대만, 파푸아뉴기니, 칠레, 미국 캘리포니아, 알래스카, 러시아 등이 있다. 동남아시아 국가 태평양의 여러 섬, 북미와 남미 해안 지역 등 태평양를 둘러싸고 고리 모양을 이룬다.

 

 

서쪽에 위치한 일본, 대만, 동남아, 그리고 북쪽의 러시아 캄차카, 미국 알래스카, 마지막으로 동쪽에 자리한 미주 대륙 서부 등 태평양 연안 지역을 고리 모양으로 아우르고 있는 지역을 불의 고리라 칭한다.

 

 

불의 고리에 속한 일본은 구마모토 지진이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 995회가 넘는 크고 작은 지진이 계속 발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질학자들은 지각이 불안정해 또 한 번 대지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한편 피해규모와 사상자는 현재 집계되지 않았지만 SNS를 통해 “침대가 흔들려서 너무 놀랐다” “자다가 지진 때문에 일어났다” 등 지진 발생 증언의 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지진의 공포가 무섭게 다가오는 요즘.. 또 다시 발생한 대만 지진 발생으로 부터 부디 큰 피해가 없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참고로 지진이 발생했을 때 행동요령입니다.

 

일본지진이나 대만지진에서 보듯이 요즘들어 불의고리에서 지진활동이 활발함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 안전국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되겠죠.

 

강도가 높은 지진이 발생한 후에는 여진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섣부른 행동은 삼가해야 하습니다. 지진은 지면이 흔들리는 자연현상으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평소에 대비를 철저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고 해요

 

 

또한 지진 발생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분에서 2분이므로 이 시간동안 테이블 등의 밑으로 들어가 몸을 피하고 테이블 등이 없을 때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고 하습니다. 그렇다면 지진 행동요령은 어떻게 될까요?

집에 있을 때는

책상과 침대 밑에서 책상다리를 붙잡는다. 방석으로 머리를 보호한다. 불을 끄고 가스밸브는 바로 잠그는 것이 좋다.

 

빌딩에 있을때는

 

 

 

집과 마찬가지로 책상이나 탁자 밑으로 대피한다. 창문과 발코니로부터는 멀리 떨어지는 것이 좋고 엘리베이터는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백화점이나 지하건물에 있다면

 

 

 

진동이 멈출 때까지 자리에 앉아 있는다. 안내자의 지시를 잘 따르고 출구나 계단으로 몰려가서는 안 된다. 지하시설은 안전하나 정전과 침수 피해가 있으니 잘 대처해야 한다.

 

 

지하철이라면

고정된 손잡이나 물체를 꽉 잡는다. 문을 열고 뛰어내리면 지나가는 차량에 치이거나 고압선에 감전될 수 있으니 안내방송에 따라 움직인다.

 

 

산이나 바다에서 지진이 났다면

산악과 급경사에서는 산사태나 절벽이 무너질 수 있으니 안내요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해안에서는 지진해일특보가 발령되면 높은 지역이나 해안에서 먼 곳으로 대피하는 것이 좋다.

 

 

엘리베이터안에 있다면

 

 

 

지진을 느낀 즉시 정지 버튼을 누리고 신속히 내린다. 최신 엘리베이터는 관제운전장치가 설비되어 있어 지진발생시 자동으로 작동된다.

 

 

자동차를 타고 가고 있다면

도심 운전은 절대 금물입니다. 교차로를 피해서 정차시키고 바로 내려야 한다. 라디오나 인근의 경찰관 지시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국민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에서 지진 행동요령 10가지예요!

1. 우선 지진 발생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분에서 2분 사입니다. 이 시간동안은 테이블 등의 밑으로 들어가 몸을 피하고 테이블 등이 없을 때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해야 한다.

 

2. 지진으로 건물이 비틀려 문이 열리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약한 진동이 느껴지면 문을 꼭 열어두어 출구를 확보하고 폭파 위험이 있는 가스·전기 등을 차단해야 한다.

 

 

3. 가스·전기 등을 차단하지 못해 화재가 났을 때는 침착하고 빠르게 불을 꺼야 합니다. 불을 조기에 진화할 수 있는 기회는 3번으로 크게 흔들리기 전, 큰 흔들림이 멈춘 직후, 발화된 직후 화재의 규모가 작을 때로 문을 열어서 출구를 확보한 뒤 불을 진화해야 한다.

 

4. 흔들림으로 집 안에 있는 것이 불안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집 밖은 위험합니다. 밖은 지진 발생 때는 유리창이나 간판 등이 떨어져 대단히 위험하므로 서둘러서 밖으로 뛰어나가면 안되고, 손이나 가방 등 들고 있는 것으로 머리를 보호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 빌딩가 등에 있을 때는 상황에 따라서 건물 안에 들어가 머무는 것이 오히려 안전합니다.

5. 지진이나 화재가 발생할 때는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말아야 하고, 혹시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 경우에는 모든 버튼을 눌러 신속하게 내린 후 대피해야 한다. 만일 갇혔을 때는 인터폰으로 구조 요청한다.

 

6. 지진시 전철을 타고 있다면 큰 충격이 닥쳐오므로 화물 선반의 횡축이나 손잡이 등을 꽉 잡아서 넘어지지 않도록 해야한다. 진도 5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전철은 일시적으로 운행이 정지되지만, 정차했다고 해서 서둘러 밖으로 나가면 다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차내방송에 따라 침착하게 행동해야 한다.

 

 

 

7. 큰 진동이 멈춘 후에는 공터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해야 한다. 또한 블록담, 자동판매기 등 고정되지 않은 물건 등은 넘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가까이 가면 위험합니다.

 

8. 해안에서는 해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지진을 느끼거나 해일특보가 발령되면 시군구의 안내방송이나 라디오 및 텔레비전의 정보를 시청해서 신속한 곳으로 위쪽으로 대피한다.

 

9. 지진이 발생한 경우 많은 부상자의 발생이 불가피합니다. 또한 정전이나 교통정체 등으로 구급대, 의료기관도 평상시와 같은 활동을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평소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을 배워두는 것이 좋다.

 

 

10. 지진에 의한 화재가 크게 확대되어서 인명피해가 우려될 경우 신속히 대피해야 한다. 대피방법은 방재시민조직이나 수방단 등을 단위로 해서 관계공무원이나 경찰관등의 안내에 따르고, 최소한의 소지품만을 가지고 걸어서 가는 것이 원칙입니다. 자동차나 자전거를 이용한 대피는 절대 피해야 하며, 평소부터 이웃사람들과 대피방법에 대하여 미리 의논해서 결정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Comments

반응형 구글광고 등
  • 글이 없습니다.
최근통계
  • 현재 접속자 161 명
  • 오늘 방문자 554 명
  • 어제 방문자 972 명
  • 최대 방문자 6,268 명
  • 전체 방문자 1,000,160 명
  • 전체 회원수 13,550 명
  • 전체 게시물 20,710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