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분류 


1인가구 분류

0 2,242 2016.02.19 05:29

 

1인가구 분류는?

 

서울 4가구중 1곳은 1인가구라고 합니다.

 

1인가구 분류를 해 보니 다 같은 1인가구가 아니라 골드족 부터 산업예비군까지 다양했습니다

 

자의가 아닌 타의로 1인 가구된 솔로는 빈곤이 우려되기 때문에 사회적 돌봄이 필요합니다고 합니다.
 

1980년 서울에서 혼자 사는 사람은 단 4.5%에 불과했습니다. 지금은 주위 어디를 가든 혼자 사는 사람을 쉽게 만날 수 있죠. 이런 1인 가구 비율은 30년 만에 25%로 상승했다고 합니다.

 

서울시가 발간하는 '서울경제' 에 따르면 2010년 서울의 1인 가구 수는 전체 가구의 24.4%에 달했습니다. 1인 가구 비율은 계속 증가해 2035년에는 30%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1인 가구는 혼자 산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나 그 배경은 제각각이라고 하습니다. 젊은 1인 가구 증가는 여성 경제활동이 늘고 결혼관 변화에 따라 비혼·만혼이 많아진 것이 큰 요인이였으며 여기에 기러기 가족과 가족 해체로 인한 독신, 홀몸 노인 증가 등 복합적 요인이 있었다고 합니다.

.

 

그렇다면 이런 1인가구 분류는 원인에 따라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요?

 

 

1인 가구는 '독신'이 된 원인에 따라 월 소득 350만원이 넘는 골드족을 비롯해 산업예비군, 불안한 독신자, 실버세대 등 4종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인가구 분류 중 골드족은 자발적 선택으로 '화려한 싱글 생활'을 즐기는 집단이라고 합니다. 이들은 자신에게 아낌없이 투자하고 사회적 관계를 만드는 활동에 적극적입니다.골드족 대다수는 관리·전문직종에 종사하고 대졸 이상의 학력과 월평균 소득이 350만원을 넘는다고 합니다.

 

 

또한 이들은 도시에 새로운 문화 활력을 가져오고 1인 소비라는 새로운 형태의 산업을 발달시킨다고 해요.

 

 

1인가구 분류 중 산업예비군 1인 가구는 사회적 직업을 갖지 못한 젊은 20∼30대 취업 준비생 또는 비정규직 집단입니다.

 

 

산업예비군을 가장 힘들게 하는 것은 '밥 먹는 문제'이며 현재 이들의 복지가 사회적 화두이기도 하답니다.

 

 

1인가구 분류 중 불안한 독신자는 중장년층 이혼율 증가, 기러기 가족 증가, 중장년 실업 문제 등으로 나타난 1인 가구입니다. 이들은 특히 '강제적'으로 세상과 단절되기 때문에 사회 통합을 저해하고 비사회적 현상의 중심에 서는 경우도 발생한다고 합니다.

 

 

1인가구 분류 중 실버세대는 고령화와 남녀 평균수명의 차이에 따라 늘어나는 1인 가구입니다. 이들은 절대 빈곤 상태인 홀몸노인과 경제력이 있는 홀몸노인으로 구분된다고 합니다.

 

앞으로 이러한 1인 가구는 더욱 늘어날 전망입니다. 골드족을 제외한 나머지 3종류 1인 가구의 문제점은 '빈곤'과 '사회적 고립'과 관련 있기 때문에 문제라고 하습니다.

 

 

이들 대다수는 비자발적인 이유로 1인 가구가 됐고 기본적으로 경제적 자립도가 낮은 상태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1인 가구는 챙길 가족이 없다 보니 여가 시간이 많은 편이겠죠. 윤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이 1인 가구 평일·휴일 시간을 분석한 결과, 전국 1인가구 평균 여가 시간은 평일 4.3시간, 휴일 6.3시간이었습니다.

 

 

우리나라 국민 평균 여가 시간인 평일 3.6시간, 휴일 5.8시간보다 많았다고 합니다.

 

 

윤 부연구위원은 1인 가구 여가 시간이 국민 평균 여가 시간보다 많은 것은 배우자, 자녀, 부양가족이 없어 가사노동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서울 1인 가구는 평일 3.3시간, 휴일 6.2시간으로 전국 1인 가구 평균보다 평일 여가 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합니다. 이는 서울 1인 가구의 연령분포가 주로 30∼40대 직장인에 집중되기 때문이라고 해요.

 

 

그렇다면 여가 비용은 얼마나 들었을까요? 1인 가구의 한 달 평균 여가 비용은 10만 9천561원이였습니다. 반면 한 달 평균 희망 여가 비용은 16만 216원이였다고 합니다.. 희망보다 약 6만원을 덜 쓰고 있는 셈입니다.

 

 

남성이 약 15만원으로 약 8만원인 여성보다 한 달 여가 비용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여가활동으로는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요?

 

 

1인 가구의 여가활동 참여형태는 TV 시청이 56%로 가장 높았고 인터넷·SNS 이용(8.3%), 산책(4.8%), 게임(3.3%)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서울 1인 가구는 여가활동 참여형태에서 TV 시청이 36.2%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고 대신 인터넷·SNS 활용이 18.1%로 높았다고 합니다.

 

 

1인 가구 증가는 선진국도 겪는 현상이겠죠. 따라서 정부는 1인 가구를 위해 주거 안정성, '사회적 돌봄' 서비스, 노인 복지를 제공해야 하는 의무가 있으며 이를 위한 중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고 합니다.

Comments

반응형 구글광고 등
  • 글이 없습니다.
최근통계
  • 현재 접속자 124 명
  • 오늘 방문자 492 명
  • 어제 방문자 972 명
  • 최대 방문자 6,268 명
  • 전체 방문자 1,000,098 명
  • 전체 회원수 13,550 명
  • 전체 게시물 20,710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