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인 평균수입 


예술인 평균수입

0 2,359 2016.03.25 21:39

 

예술인 평균수입 얼마일까?

 

속된말로 배고픈 예술인의 길이라고 하죠. 예술인 평균수입이 얼마인지 알아보니 1225만원으로 국내 예술인 중 두명 중 한명은 생계를 위해 다른 직업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예술인 평균수입은 문화체육관광부가 3년 주기로 시행하는 예술인 실태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인데요. 예전도 그랬지만 현재에도 예술인들의 삶은 고단 그 자체로 표현될 수 있는 직업군인 것 같네요

 

예술인 평균수입 등 조사는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문학 및 미술 사진 등 14개 예술 분야 종사자 5008명을 대상으로 2014년 예술활동에 대해 조사한 결과인데요 2012년 조사에 비해 모집단은 3배 이상, 표본의 크기는 2배 이상인 역대 최대 규모의 전국 조사였다고 합니다.

 

대개 경력이 길수록 수입이 늘어난다고 하죠. 그렇지만 예술인 평균수입 중 만화 분야는 의외로 10년 미만이 가장 수입이 많았는데요. 그건 바로 요즘 핫하게 뜨고 있는 웹툰 분야의 고소득자가 연령이 적은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고 합니다.

 

연간 예술작품 발표 횟수는 평균 6.1회인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방송, 만화는 평균 10회 이상인 반면, 문학, 미술 분야는 평균 3회 미만으로 나타나 장르별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고 합니다.

 

한편 예술인 5명 중 1명에 해당하는 20.1%가 지난 1년간 외국 예술활동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는데요. 미술과 무용, 공예분야는 해외활동 경험 비율이 높은 반면 영화, 문학 등의 분야는 외국 예술활동 경험 비율이 낮아 분야별 국제교류 활성화의 차이를 보였다고 하네요.

 

 

예술인이 예술활동 계약 체결을 경험한 비율은 30.7%, 서면계약 체결을 경험한 경우는 25.5%인 것으로 조사되었는데요. 특히 만화와 영화, 연극 분야에서 서면계약 관행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계약체결 경험자 중 낮은 임금 등 부적절하거나 부당한 계약을 체결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12.2%였으며 분야별로는 만화가 높았다고 합니다.

 

이번 조사는 예술인 복지와 창작환경 등을 파악해 예술인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전국 단위 규모로는 처음 실시되었다고 합니다. 이에 14개 장르별 예술가 구성 비중을 반영하여 전국 16개 시도에서 총 5008명의 예술가를 1대1 면접 방식으로 조사했는데요.

 

예술인 평균수입 등 이번 실태조사의 결과에 나타난 예술인의 낮은 예술활동 수입과 함께 생활을 위한 겸업의 부담 그리고 구두계약 관행 및 사회보험 문제가 폭넓은 지원금 확대 및 적극적인 창작환경 개선 대책으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Comments

카테고리
반응형 구글광고 등
  • 글이 없습니다.
최근통계
  • 현재 접속자 32 명
  • 오늘 방문자 460 명
  • 어제 방문자 664 명
  • 최대 방문자 6,268 명
  • 전체 방문자 982,634 명
  • 전체 회원수 13,523 명
  • 전체 게시물 20,710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