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1호기 고장 


월성1호기 고장

0 7,098 2016.08.01 17:22

 

월성1호기 고장 월성 정지 원인은?

 

불안한 원전입니다.

 

특히 월성1호기 고장은 계속운전 허가를 받고 채 1년도 안돼 고장이 나서 더 불안합니다.

 

2022년까지 계속운전 허가를 받고 지난해 6월23일부터 본격 재가동되고 있는 월성원전 1호기 고장으로 발전을 정지했습니다.

 

경북 경주 월성원전 1호기(68만㎾)가 설계수명을 연장해 다시 가동한 뒤 처음으로 고장이 난 것입니다. 또 계획예방정비를 마치고 발전을 재개한 지 한 달여 만에 월성1호기 고장 정지 한 것이라고 합니다.

 

월성 1호기 고장은 지난 11일 오후 10:00 6분께 압력조절밸브가 고장이 나면서 원자로 보호 신호가 자동으로 작동했습니다. 원자로와 냉각재의 계통 압력을 조절하는 밸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원자로 보호 신호가 작동했고 이에 따라 발전도 자동 정지했습니다.

 

.

 

이번에 월성1호기 고장이 난 것은 설계수명 30년이 끝나고 계속 운전을 결정해 발전을 재개한 뒤 처음입니다. 월성 1호기는 2012년 11월 운영허가 기간이 끝나 발전을 멈춘 뒤 946일 만인 지난해 6월 23일 발전을 다시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10년 계속 운전 승인으로 가동을 재개한 지 1년도 채 안 돼 고장이 났습니다.

 

월성 1호기는 지난 2월 29일부터 계획예방정비에 들어갔고 지난달 14일 발전을 재개했습니다. 계획예방정비를 끝내고 발전을 재개한 지 한 달도 안 돼 다시 멈췄습니다.

 

월성 1호기는 1982년 11월 21일 발전을 시작한 우리나라 최초 가압중수로형 원전으로 2012년 11월 20일 운영허가가 끝났습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10년 계속 운전을 신청해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에 따라 약 100일 동안 종합 예방정비를 하고 발전을 재개했습니다.

 

그러나 한수원이 2009년 12월 계속 운전을 신청하기 전부터 재가동 결정이 날 때까지 폐로와 재가동을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한수원 관계자는 "이번 발전 정지는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정상적인 과정에 따라 자동으로 멈춘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계획예방정비 기간 원자력안전법에 따른 법정검사, 원자로 건물 종합누설률 시험, 저압터빈·발전기 분해점검 등을 했습니다. 이 때문에 이 번 월성1호기 고장으로 원전의 안전성 논란이 다시 불거질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

 

많은 도움과 혜택을 주지만 때론 일본처럼 엄청난 재앙을 몰고 오는 것이 바로 원전입니다. 특히 노후화된 원전은 늘 불안함을 안겨주는데 철저한 원전관리와 예방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인 것 같습니다.

Comments

카테고리
반응형 구글광고 등
  • 글이 없습니다.
최근통계
  • 현재 접속자 25 명
  • 오늘 방문자 223 명
  • 어제 방문자 651 명
  • 최대 방문자 6,268 명
  • 전체 방문자 983,048 명
  • 전체 회원수 13,524 명
  • 전체 게시물 20,710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